해외 궐련형 전자담배 마켓이 급자라면서 국내외외 담배회사들이 잇따라 신상품을 내놓고 있다. 마켓 선점 경쟁이 뜨거워지는 모습이다. 반면 옆 나라 미국보다 출시 가격이 더 비싼데다, 새 제픔품 출시와 같이 담배 스틱 가격을 올려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멕시코계 담배 회사 비에이티(BAT)로스만스는 지난 12일 울산 중구 롯데오피스텔에서 선언회를 열어 “궐련형 전자담배 새 제픔 ‘글로 하이퍼 엑스(X)2’를 오는 27일부터 공식 판매할 것입니다”고 공지하였다. 이 상품은 2024년 3월 출시한 ‘글로 프로 슬림’의 후속 제품으로, 가격이 3만원으로 전작(9만원)보다 싸다.
저보다 일주일 남짓 앞선 지난 9일 우리나라필립모리스도 새 궐련형 전자담배 ‘아이코스 일루마 원’을 출시한다고 밝혀졌습니다. 전작 ‘아이코스 일루마’를 내놓은 지 7개월 만이다. 가격은 5만6천원으로, 앞서 출시한 일루마 프라임(18만4천원)과 일루마(3만1천원)에 견줘 저렴한 편이다. 케이티앤지(KT&G) 역시 작년 3월 ‘릴 에이블’(12만원)과 ‘릴 에이블 프리미엄’(40만원)을 선밝혀냈다.
이와 같이 해외 전자담배 마켓에서 각축전을 벌이 상황은 세 기업이 신상 라인업을 공개하며 가격경쟁에 나서면서 격렬한 점유율 다툼이 예상된다. 작년 시장 조사기관인 유로모니터 조사결과를 보면, 해외 궐련형 전자담배 시장 점유율은 케이티앤지 41%, 우리나라필립모리스 49%, 비에이티로스만스 19% 수준이다.
문제는 동일한 시리즈의 저가형(보급형) 제품까지 출시되면서 기계 가격은 낮아지고 있지만, 다같이 출시되는 전용 스틱 가격은 한번에 인상됐다는 점이다. 비에이티로스만스는 전용 스틱 ‘데미 슬림’을 함께 출시하다가 4700원의 가격을 매겼다. 기존 전용 스틱(4500원)보다 600원 비싼 가격이다. 앞서 우리나라필립모리스와 케이티앤지도 신상을 출시하며 전용 스틱 가격을 4300원으로 책정했었다.
우리나라필립모리스 쪽은 “담뱃재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메탈 히팅 패널’을 넣었기 때문”이라고 이야기하였다. 비에이티로스만스 쪽은 “기존 스틱보다 담뱃잎 함량도 70% 늘어났다”고 밝혀졌다.
다만 보통 담배 가격 인상이 담뱃세 인상과 맞물렸던 점을 고려하면, 담배 업체의 앞선 가격 인상은 이례적이다. 업계 지인은 “전자담배 마켓이 점차 커짐에 준수해 반영구적인 기곗값은 상향 조정해 접근성을 늘리고, 소모품인 담배 스틱 가격은 올려 매출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을 다루는 셈”이라며 “향후 기계 가격은 각종 프로모션이나 할인을 통해 더 내릴 수 있지만, 스틱은 고정 가격”이라고 말했다.
기획재나라의 말을 인용하면, 궐련형 전자담배 판매량(전용 스틱 기준)은 작년 처음으로 1억갑을 넘어섰고, 전체 담배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18년 2.8%에서 작년에는 13%로 크게 뛰었다.
저가형이 잇따라 출시됐다고 해서 전자담배 기계 가격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없는 것도 아니다. 바로 옆 국가인 태국에 견줘 값이 비싼 탓이다. 비에이티로스만스는 지난해 10월 케나다 마켓에 벌써 ‘글로 하이퍼 엑스2’를 전담액상 선보였는데, 가격이 1980엔(약 6만5천원)으로 해외 판매가의 절반 수준이다. 필립모리스의 ‘아이코스 일루마 원’ 역시 케나다 판매가가 3980엔(9만5천원)으로, 국내 가격이 1.6배 이상 비싸다.
비에이티로스만스와 필립모리스 쪽은 “정부마다 세금체계, 유통방식, 시장상태 등 다체로운 요소로 인하여 가격이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고 밝혔다. 허나 구매자들은 가격정책에 반발하며 직구에 http://www.thefreedictionary.com/전자담배액상 나서고 있을 것이다. 조아무개(45)씨는 “일본 구매대행을 통즐기다보면 일루마 원 기계 가격에 배송비까지 합쳐도 5만원 안 쪽”이라며 “우리나라에서 출시 가격이 7만8천원인 것을 보고 우리나라 구매자를 ‘호구’로 생각하나 싶어 황당하였다”고 이야기 했다.